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메뉴 바로가기

고객센터

  • FAQ
  • Q&A
  • 연구과제 제안
  • 개인정보 취급방침
  • KERI 저작권 정책
  • 이메일 서비스 안내

본문내용

Home > 고객센터 > FAQ

FAQ

FAQ

  • 한국경제연구원은 어떤 곳입니까?

    한국경제연구원은 자유시장경제 이념을 바탕으로 한국경제의 발전과 기업하기 좋은 제도적 환경조성을 위한 정책과제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민간유일의 정책연구기관으로 1981년 4월 1일 설립된 사단법인입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먼저 한국경제와 기업의 장단기 발전과제를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효율적인 자유시장경제체제 구축과 건전한 기업성장을 이루어 국민경제와 세계경제의 성장ㆍ발전에 기여하고 둘째, 현실 경제에 뿌리를 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분석, 현장 중심의 조사사업을 토대로 실천적 정책대안을 개발ㆍ제시함으로써 민간경제계의 정책두뇌 집단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해 나가고 있습니다.

     

    본원의 기능과 조직, 업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연구원 소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경제연구원의 회원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한국경제연구원은 전경련 회원사 420여 개 중에서 이사회원사인 130여 개의 회사를 회원으로 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입니다.

     

    또한 전경련의 유관기관으로서 모든 전경련 회원사에게 회원에 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한국경제연구원은 어떻게 운영되나요?

    한국경제연구원은 회원사들이 내는 회비를 기본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한국경제연구원이 다른 연구기관들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우선 한국경제연구원은 민간차원에서 자유시장과 자유경쟁, 자유기업을 모토로 자유시장경제의 이념 확산을 위한 연구를 주로 하는 민간경제연구소입니다.
     

    이 점에서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산업연구원(KIET)·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한국노동연구원(KLI)·한국금융연구원(KIF)·한국조세연구원(KIPF) 등 정부주도 연구기관과 구별됩니다.

     

    둘째로, 한국경제연구원은 거시경제·재정금융조세·산업과 기업·규제개혁·공공부문·무역통상 등 경제분야 전반에 대해 연구하는 정책종합연구기관입니다.
     

    즉 정부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의 민간 카운터 파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타 국책연구소인 산업연구원·대외경제정책연구원·노동연구원·한국금융연구원·한국조세연구원 등은 종합정책연구소라기보다는 전문분야의 정책연구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민간경제연구소인 삼성경제연구소·LG경제연구원·현대경제연구원·SK경영경제연구소 등은 정책일반을 다룬다기보다는 기업에 대한 정보제공을 주로 하는 기업의 경영경제연구소라 할 수 있습니다.

  • 한국경제연구원에서 발행되는 연구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한국경제연구원은 연구보고서/정책연구/KERI Insight/KERI Brief 등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거시경제·금융재정·기업정책·규제완화·무역통상·북한경제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고 해마다 40여 권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정기간행물로 『경제전망과 정책과제』(분기별), 『KERI Economic Bulletin』(분기별), 『규제연구』(연 2회) 등이 있습니다.

  • 한국경제연구원은 대기업들을 대변하는 연구소라는 평이 많은데요?

    한국경제연구원은 설립취지에서 보듯이 민간의 입장에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해 연구하는 정책연구기관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자유시장경제의 확산과 기업의 성장·발전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원이 연구하는 결과물이 대기업을 대변하는 듯이 보이는 경우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앞에서도 말했듯이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연구를 민간입장에서 하는 것이지 대기업만을 위해서 연구를 하는 곳은 아닙니다.

  •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연구자료가 있나요?

    연간 총 40여 권의 연구자료를 발간하고 있으며, 정기간행물로는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규제연구지가 있습니다.

  • 연구자료를 책으로 받아보고 싶은데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요?

    도서연회원(유료)이 되시면 책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거나 홈페이지 메뉴 중 도서연회원(안내)을 보시면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담당자 : 기획조정실 홍보팀

    - 전  화 : 02-3771-0072

    - 이메일 : hys@keri.org

  • 연구자료 원문을 받아 볼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 연구자료 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별도의 절차 없이 다운받고 싶은 연구자료의 상세정보 및 리스트 화면에서 원문파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 연구원에서 발간하는 연구자료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본원에서 발간하는 연구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 내부연구진과 외부전문가들의 개별연구결과를 담아 KERI가 발간한 보고서

    - 정책보고서 : 급변하는 경제환경 속에서 올바른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보고서

    - KERI Insight : 정부정책에 대한 제안 및 건의를 담은 보고서

    - KERI Zoom-In : 정책이슈에 대한 기초분석 및 문헌조사를 담은 보고서

    - Issue Paper : 현안 경제이슈에 대한 진단과 해법을 제시하는 분석보고서

    - Working Paper : KERI 연구진이 수행한 기초적인 연구에 대한 보고서

    - 제도연구지 : 다양한 제도문제에 대해 이론적/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담은 학술지 

    (2012년부터 연구보고서, 정책보고서, KERI Insight만 발간됩니다)

     

    2.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 국내외 경제동향에 대한 심층분석과 전망을 통한 정책대안 제시 보고서

     

    3. 규제연구지  

    - 각종 규제관련 연구결과를 담은 종합 학술지

     

    4. 세미나 자료  

    - KERI가 주관한 대/내외 세미나의 발표자료

처음으로 앞으로 1 2 3 이전글 마지막으로
내가 찾은 검색어(0개)
  • 핫이슈
  • 규제연구 공모
  • 도서연회원
  • 이메일 서비스
연구과제제안 Q&A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