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시장경제연구백서
-
- 저자
- 한국경제연구원
-
- 발간일
- 2008.02.05
-
- 브로슈어
-
브로셔_2007.PDF

1. 대표 연구과제
[규제개혁 종합연구: 시장경제 창달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개혁 로드맵]
[개방경제 한국의 현안과제]
Part 1 : 한·미 FTA 분야별 협상결과 평가 및 우리 기업에 주는 시사점
가. 한·미 FTA 상품분야 협상결과에 대한 평가 및 과제
나. 한·미 FTA 서비스·투자분야 협상결과의 평가 및 의의
다. 한·미 FTA 주요 제도화 관련 협상내용·영향 및 향후 과제
라. 한·미 FTA 무역구제제도의 의미와 향후 대응전략
마. 한·미 FTA 정부조달분야의 협상결과와 기업의 활용전략
바. 한·미 FTA 피해산업 보완대책에 대한 평가 및 과제
Part 2 : 한·미 FTA 주요 쟁점분야별협상 동향 및 영향 분석
가. 한·미 FTA와 외국인투자
나. 한·미 FTA 통신분야 개방효과와 전망
다. 한·미 FTA 자동차분야 협상 동향 및 영향 분석
라. 한·미 FTA 의약품분야 협상 동향 및 영향 분석
Part 3 : 한·미 FTA 및 개방화에 따른 제도개선 과제
가. 한·미 FTA 협상 타결의 의의 및 산업별 영향·보완대책에 대한 분석
나. 한·미 FTA에 따른 수도권 규제개혁 방안
다. 한·미 FTA에 따른 노동 관련 규제개혁 방안
라. 선진통상국가 도약을 위한 세제개편
마. 언어시장의 자유화: 영어 공용
바. 자유주의 시장경제와 교육제도
사. 한·미 FTA 체결에 따른 의료제도 개선
Part 4 : 한·미 FTA에 대응한 부문별규제 및 제도 개혁과제
가. 한·미 간 기업정책 비교 분석
나. 한·미 간 토지이용규제에 대한 비교 분석
다. 한·미 FTA에 대응한 금융부문의 제도개선
라. 한·미 간 조세제도 비교
마. 한·미 간 노동시장 및 노사관계 관련 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의 대기업정책]
가. 대규모기업집단의 국민경제적 비중
나. 경제력집중 억제 규제
다. 소유지배구조 규제
라. 금융·산업 분리정책
마. 대기업에 대한 진입 및 역차별 규제
바. 기업 재무규제 및 세제
사. 공시 및 회계·감사제도
아. 특수관계인 규제
자. 노사관계
차. 수도권 규제
[선진한국을 위한 선택: 잘사는 나라, 행복한 국민]
[차기정부 실행과제]
가. 2008년 대내외 경제환경을 고려한 투자활성화 및 일자리창출 정책과제
나. 세제개혁
다. 재정지출 구조개혁 방향
라. 공기업 개혁
마. 공정거래 및 대기업정책
바. 수도권 및 지역균형발전 정책
사. 주택 및 부동산 정책
아. 규제개혁추진체계 개선방안
자. 공공기관 서비스 프로세스의 혁신
2. 주제별 연구과제
[거시경제환경의 전망과 과제]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KERI 2007 장기 거시경제 모형과 전망결과
중국 위안화 절상의 효과 및 대응방안
한국의 외환위기 10년: 전개과정과 추후 과제연구
[국제 및 지역경제의 주요 현안]
국제금융시장 불안요인 점검과 전망
독일경제의 회복현황과 시사점
통상정책 결정요인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Nonlinear Mean-Reversion in Southeast Asian Real Exchange Rates
[변화하는 경영환경과 이에 대한 대응]
세계 경제권별 M&A시장 현황과 시사점
중국의 해외기업 M&A 현황과 시사점 분석
한미동맹의 형성 및 변화 결정요인 분석과 향후 전망
중국시장에서의 한국제품경쟁력 실태조사
환율변동이 기업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전략
[고용 및 근로환경과 노동시장 연구]
대졸청년실업, 대졸청년 자신에게는 문제 없는가
산별노조와 단체교섭에 대한 기업의 대응방안 - 법적 측면에서
프랑스 최초고용계약(CPE)제도의 시사점 -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고용창출을 중심으로
제조업 임금의 평가와 시사점
[기업정책의 주요 이슈]
기업집단의 소유구조에 관한 이론모형 분석과 시사점
미연방대법원의 재판매가격유지행위 평가기준 변화의 정책적 함의
부당공동행위에 대한 실증연구 고찰 - 입찰사례를 중심으로
기업의 소유지배구조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 -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
1. 경제교육사업
방송작가 시장경제교육
국회보좌관 시장경제교육
경찰간부 시장경제교육
중등교사 시장경제교육
2. 대외세미나
공적연금의 시장 감시
한·미 FTA 평가 및 기업의 활용방안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확립을 위한 헌법개정 방향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of the Firms in Korea, China and Japan
차기정부의 공공부문 개혁방향
차기정부 규제개혁, 어찌할 것인가 - 규제개혁 시스템 부문
3. 연구회 및 포럼
한경연 포럼
기업구조와 전략연구회
한국 하이에크 소사이어티
헌법연구회
공공개혁 포럼
4. 정보자료 서비스 및 학술지 발간 사업
정보자료 서비스 사업
『규제연구』발간 사업
다음글 | 다음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
---|---|
이전글 | 이전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