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2016년 한국의 기업가정신 지수 추정
-
- 저자
- 황인학
- 등록일
- 2017.03.08
-
- 원문
-
KERI Brief 17-05.pdf
- 조회/평점
- 131430 / 5.0
기업가정신은 경제발전의 원동력이자, 지금 우리 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난제들을 풀 수 있는 근본적인 해법이다. 이와 관련 본보고서는 우리나라 기업가정신의 최근 실태에 대해 국제기관에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간단히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제도 ⇒ 기업가정신 ⇒ 경제적 성과’로 연결되는 이론 분석틀을 바탕으로 1987년 이후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 지수를 연도별로 추정하고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전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인식 및 태도, 제도의 수준, 개인의 경제의지, 기업 활동, 공공 부문 등 5개 부문에서 총 12개 변수를 이용하여 매년도 기업가정신 지수를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기업가정신 지수는 계속 하락하여 최근에는 1987년대비 2/5에 불과한 86.1이며, 이는 가장 낮았던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의 83.8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낮은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근에 지수가 하락한 이유는 수출증가율의 둔화, 반기업정서의 확산 등 기업?기업가에 대한 인식, 규제부담등의 제도부문 경쟁력의 저조, 공공부문의 기업가정신 미흡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 서론
2. 한국의 기업가정신 국제비교: GEM, GEDI
3. 한국의 기업가정신 지수 추정
4. 요약 및 시사점
다음글 | 다음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
---|---|
이전글 | 이전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