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2월 기업경기전망 81.1
-
- 등록일
- 2019.01.29
- 조회
- 42990
2월 BSI 81.1, 경기불황 지속에 10년 만에 최저치
- 2월 전망치(81.1), 금융위기였던 2009년 3월 이후 최저치 기록
- 1월 실적치(87.3), 45개월간 100선 아래에 머물며 부진
- 기업비용 증가 → 고용과 투자 감소 → 내수침체 악순환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2월 전망치는 81.1을 기록하며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3월(76.1) 이후 11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월 실적치는 87.3으로 조사되어 45개월간 100선 아래에 머물며 부진을 이어갔다.
* 2015년 4월 실적 101.3 기록
- | '18.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9.1 | 2 |
종합경기(전망) | 91.8 | 100.2 | 96.3 | 100.3 | 95.2 | 90.7 | 89.2 | 92.2 | 97.3 | 90.4 | 88.7 | 92.7 | 81.1 |
종합경기(실적) | 86.2 | 99.1 | 94.0 | 95.5 | 91.9 | 89.7 | 91.9 | 84.2 | 91.0 | 88.7 | 90.2 | 87.7 | - |
2월 전망치는 81.1로 나타나면서 금융위기 이후 근 10년간 가장 부진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내수부진이 심각한 상황으로 2월 내수전망은 43개월 만에 최저치인 85.2를 기록했고, 내수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도·소매 업종의 전망도 70.2로 나타나 유통업계의 설 특수라는 말도 무색해졌다. 내수뿐만 아니라 수출(89.0), 투자(95.2), 자금(94.7), 재고*(102.9), 고용(96.9), 채산성(87.8) 등 모든 부문이 기준선에 크게 못 미치는 부진한 결과를 보였다. 한경연은 통상 설 연휴가 있는 2월은 조업일수 감소, 건설업 수주 비수기 등 계절적 요인으로 전망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올해는 감소폭이 크고 전망치가 낮아 기업들의 경기 체감도가 최악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내수 침체가 심각한 상황에서 중국 경제 지표 악화와 미국의 셧다운 장기화 우려, 반도체 경기 둔화 본격화로 인한 수출 불확실성 증대도 부정적 경기전망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 재고는 100 이상일 때 부정적 답변(재고과잉)을 의미
-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설날 있는 달 BSI | 52.0 | 102.3 | 98.0 | 88.3 | 86.7 | 93.4 | 92.1 | 86.3 | 89.9 | 91.8 | 81.1 |
전달 대비 변동 | -3.0. | -.08 | -3.8 | -6.5 | -1.0 | 0.8 | 1.8 | -6.9 | -1.7 | -4.7 | -11.6 |
* `09년, `12년, `14년, `17년은 1월 설날, 나머지는 2월 설날

1월 실적은 87.3을 기록하며 45*개월 연속 기준선 이하를 기록했다. 내수(93.5), 수출(91.1), 투자(92.6), 자금(95.7), 재고(103.8), 고용(98.6), 채산성(93.1) 등 모든 부문이 부진했다. 기업들은 전반적인 경기악화로 새해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응답했다.
송원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최근 인건비 상승과 금리인상으로 인한 이자비용 증가로 고용과 투자 환경이 악화되면서 내수침체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지난해 경제성장을 견인한 수출의 위협요인 마저 현실화 되는 상황에서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완화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업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조사기간 : 2019. 1 16(수)~ 1. 23(수)
· 조사대상 : 업종별 매출액순 600대 기업(회수율 69.7%, 418개사 응답)
· 조사방법 : 응답기업 담당자의 자기기술과 조사원의 질의기술 병행
※ BSI = (((긍정응답기업 수 - 부정응답기업 수) / 전체응답기업 수) * 100) + 100
* BSI가 기준치 100 보다 높을 경우 긍정 응답 기업 수가 부정 응답 기업 수 보다 많음을 의미하며, 100 보다 낮을 경우 그 반대를 의미
[첨부] 1.업종별·부문별 분석, 2.통계편
다음글 | 다음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
---|---|
이전글 | 이전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