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4월 기업경기전망 94.6
-
- 등록일
- 2019.03.27
- 조회
- 43238
4월 BSI 94.6, 주력 제조업 수출 부진으로 부정적 전망 이어져
- 4월 전망치(94.6), 전달 대비 다시 하락하며 기업 심리 위축
- 3월 실적치(96.1), 47개월 연속 기준선 하회
- 반도체 중심 전자 및 통신장비 수출 전망 어두워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했다. 4월 전망치(94.6)는 3월 전망(97.0) 대비 하락하면서 기업들의 기대감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실적은 96.1로 나타나 2015년 5월부터 47개월간 기준선 아래에 머물렀다.
4월 전망치(94.6)는 ‘18년 5월 이후 11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한 기록이다. 내수(100.2)를 제외한 수출(99.6), 투자(97.4), 자금(97.4), 재고(101.3)*, 고용(94.6), 채산성(97.8) 등 대부분 부문에서 기준선 이하를 기록했다. 기업들은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하며 소매판매 분야를 중심으로 내수 상황은 나아지고 있지만, 투자와 수출의 부진으로 전망치가 악화되었다고 응답했다. 세부 업종별로는 전자 및 통신장비 제조업의 수출전망이 81.5로 3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경연은 미국·유로존과 중국 등에서 경기 둔화 신호가 증가하고 정세 불안도 지속되는 등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져 수출 여건이 점차 악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반도체 사이클 둔화가 국내 반도체 수출의 급격한 감소로 현실화되고 있어 지난해 성장을 견인한 수출마저도 전망이 밝지 않다고 설명했다.
* 재고는 100 이상일 때 부정적 답변(재고과잉)을 의미
** 2016년 2월 76.0 기록
3월 실적은 96.1을 기록하며 47개월 연속 기준선 이하를 기록했다. 내수(102.2)를 제외한 수출(99.1), 투자(96.5), 자금(98.0), 재고(103.9), 고용(94.1), 채산성(98.3) 등 대부분 부문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제조업과 건설업 등 산업 경기 악화가 투자와 고용 지표에도 반영되어 전반적인 경기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응답했다.
김윤경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연구실장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지표 악화가 본격화되면서 기업심리가 위축되고 있다”고 말하면서 “특히 글로벌 경기의 하강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어 수출은 물론 경제전반에 부정적 파급효과가 우려되므로 정부와 기업의 대응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조사기간 : 2018년 3월 14일(木) - 3월 21일(木)
· 조사대상 : 업종별 매출액순 600대 기업(회수율 76.7%, 460개사 응답)
· 조사방법 : 응답기업 담당자의 자기기술과 조사원의 질의기술 병행
※ BSI = (((긍정응답기업 수 - 부정응답기업 수) / 전체응답기업 수) * 100) + 100
* BSI가 기준치 100 보다 높을 경우 긍정 응답 기업 수가 부정 응답 기업 수 보다 많음을 의미하며, 100 보다 낮을 경우 그 반대를 의미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참조
다음글 | 다음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
---|---|
이전글 | 이전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