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Risk Management
-
- 저자
- M. Crouhy,D. Galai...
- 조회/평점
- 3598 / -
-
- 발간일
- 2000.10.30
- ISBN
- 0071357319
-
- 출판사
- McGraw-Hill
- 가격
- 0
- 서평
금융기술의 발전으로 금융시장은 복잡하게 되었고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금융규제 완화로 세계 금융시장은 더 밀접하게 됨에 따라 금융기관은 금융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게 되었다. 금융위험은 금융자산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존재하기 때문에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기업, 가계, 정부도 금융위험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금융위험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금융감독기관은 국제기준에 따라 금융기관 특히 은행에 금융위험관리체계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금융위험관리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낙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수출입기업들은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에도 아직 현명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금융기관들과 기업들에게 금융위험에 관한 전문서적으로서 이 책을 추천할 만하다.
캐나다의 상업은행 위험관리부서에서 연구하고 있는 저자들이 출판한 이 책은 주로 은행의 입장에서 금융위험관리체계를 설계에서부터 기술적 모형, 운영과정, 금융규제까지 총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설명하고 있다. 은행자산 수익의 대부분은 대출, 채권투자, 스왑 등 상대방의 신용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은행이 노출되어 있는 위험 중 가장 중요한 금융위험은 신용위험(credit risk)이다. 따라서 이 책은 많은 부분을 신용위험에 대해 할애하고 있다. 물론, 시장위험(market risk)의 VaR(Value at Risk) 모형 측정방법과 VaR 모형에 파생상품 도입방법뿐만 아니라 운영위험(operational risk), 위험관리체계의 시험과 성과분석, 모형위험(model risk) 등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한편, 금융위험을 측정, 분석, 관리하는 데에는 정교한 수학적, 통계학적, 전산적 도구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 책은 고등수학?통계?전산의 배경이 없는 독자도 위험관리의 핵심을 알 수 있도록 수학적인 모형의 응용과 금융위험관리방법을 예시를 통해서 잘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장점은 저자들의 학술적 연구와 실무적 경험을 잘 조합해 어느 특정한 모형의 구체성보다는 금융위험관리에 대한 총괄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금융기관이 아직도 취약한 금융위험관리체계를 가지고 있는 이유는 이 분야에 대한 투자수준이 낮고 전문가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향후 금융위험관리에 대한 수요는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정부 등에서도 점차 증가할 것이다.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경쟁력제고를 위해서 또 나아가 국가경쟁력의 제고를 위해서 금융위험관리전문가가 많이 배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금융위험전문가를 위한 아주 훌륭한 교과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음글 | 다음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
---|---|
이전글 | 이전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