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연구실적 콘텐츠산업의 차세대 국가전략산업화에 관한 연구(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용역보고서, 2011년
12월 Financial and Tax Support for Promoting Businesses(with Gyeong Lyeob Cho), in 『2010
Modularization of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Private Sector Development』,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1 금산분리 정책관련 주요 쟁점과 시사점, 금융산업 규제개혁시리즈 1, 전국경제인연합회,
2008년 11월 경쟁제한 및 이해상충 방지를 위한 주요국의 금융규제 검토(공저), 금융산업 규제개혁시리즈
5, 전국경제인연합회, 2008년 12월 산업금융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산업자원부 연구용역보고서(공저, 연구책임), 2005년
7월 ‘사이언스코리아’ 운동 재원조성방안 연구(공저), 한국과학문화재단 연구용역보고서, 한국경
제연구원, 2004년 7월
논문 국내 은행의 다각화 구조와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 제29권 제3호, 2011년 9월,
pp.151∼190 조기개입조치로서 은행의 조기퇴출과 자본확충의 비교(공저), 경제학연구 제59집 제2호,
2011년 6월, pp.41∼76 중국과의 무역이 가격변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경제연구 제29권 제1호, 2011년 3월,
pp.5∼37 국내 선물가격의 분산비 검정(공저), 금융공학연구 제6권 제1호, pp. 17∼34, 2007년 6월
한국영화산업 구조변화와 스크린쿼터의 한계, 국제통상연구 제11권 제3호 2006년 12월
pp.87∼119 은행민영화와 소유규제 개선, 금융연구 제20권, 별책, pp.41-74, 2006년 8월
예금보험제도와 은행의 위험추구에 관한 연구(공저), 경제연구, 제23권 4호, 2005년 12월,
pp. 77 -103 The Effects of Foreign Bank Entry on Domestic Financial Structure: Evidence from APEC
Countries (with Sung-Hee Jwa), APEC Finance and Development Program (AFDP)
Research Project (No. AFDP-R-2003-05), 2005 March, AFDP 은행의 규모, 자산다각화 그리고 위험도에 관한 연구: 국제분석을 중심으로, 금융학회지,
제9권 2호, 2004년 12월, pp.81-114
-
- 도서명
- 성장동력정책의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
- 저자
- 이태규
- 보고서 구분
- 정책연구
-
- 주제
- 기업/산업정책
- 발간일
- 2015.08.14
-
- 원문
-
정책연구-15-14.pdf
- 조회/평점
- 93683 / -

본 보고서에서는 “역대 정부가 추진한 성장동력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19개 산업 가운데 9개는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며, “경쟁력이 취약한 산업을 중심으로 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정부가 지난 10년간 지정한 성장동력산업 가운데 19개 산업*을 선별해 시장점유율, 매출액 등을 기준으로 경쟁력을 평가했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19개 성장동력산업 중 △이차전지, △차세대스마트폰,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TV, △연료전지, △기능성나노필름 등 6개 산업은 세계시장에서 5위권 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그린자동차, △시스템반도체, △바이오의약품, △메디·바이오진단시스템, △풍력, △차세대 센서네트워크, △제조업용 로봇, △스마트 그리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등 9개 산업은 세계시장에서 20위 이하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태규 미래전략실장은 “성장동력산업을 선정하는데 있어 이미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산업보다 경쟁력은 낮지만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부문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취약분야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R&D분야의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실장은 또 “백화점식으로 많은 산업을 지정·육성하기보다 우선 소수의 산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점차 대상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정책은 상황변화에 따라 투자를 조정하는 연동계획(rolling plan)*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너무 많은 산업을 성장동력으로 지정할 경우 투자 조정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한경연은 성장동력정책의 연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정 산업이 단기간에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실제로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 지원·육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제로베이스에서 정책을 수립하기 보다는 이전 정부가 추진한 정책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기존 정책의 지속 여부 등을 판단해야 한다고 한경연은 제안했다. 또 정책의 연속성을 확보하려면 민간의 수요가 충분히 반영돼야 하는데 정권이 바뀌며 유명무실화된 녹색금융이나 신성장동력펀드 등은 민간수요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대표적인 사례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요 약
I. 논의의 배경
II. 성장동력 육성정책의 이론적 배경
1. 산업정책의 귀환
2. 신산업정책(New Industrial Policy)의 이론
Ⅲ. 주요국의 성장동력 육성정책
1. 미국의 성장동력정책
2. 일본의 성장동력정책
3. 유럽의 성장동력정책
IV. 주요 성장동력산업의 위상
1. 성장동력산업의 분류
2. 산업화 단계의 성장동력산업의 위상
3. 소결
V. 정책적 시사점
1. 선택과 집중
2. 국가혁신과의 연계
3. 정책의 연속성과 추진체계
4. R&D 성과 창출
참고문헌
다음글 | 다음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
---|---|
이전글 | 이전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