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찬국 본부장은 ‘환율하락의 영향과 정책과제’라는 발표를 통해 2005년 한국 수출이 일본,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모습을 보인 것은 벌써 그 동안의 3국 환율의 움직임을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우리 원/달러 환율의 하락률이 일본, 중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원화 10%, 엔화 5%, 위안화 2.5% 절상) 성장률은 약 0.84%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외환당국은 시장개입을 통해 원화환율 하락속도와 폭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랑 과장은 ‘업종별 실질실효환율을 이용한 우리나라 제조업의 가격경쟁력 분석’이라는 주제발표를 한 통해 환율변동으로 한국 제조업 전체의 수출품 가격경쟁력은 하락했지만 컴퓨터 및 사무회계용 기기ㆍ전자관 및 전자부품ㆍ통신 영상 음향 업종ㆍ일반 기계장비는 2000년~2004년중 가격경쟁력이 올랐다며 “수출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원가절감, 기술개발 그리고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경쟁상대국보다 좋은 제품을 싸게 만들어서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재필 연구위원은 ‘환율변동에 대비한 수출중소기업의 대응책’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지금과 같은 원화절상시기에 환율변동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수출중소기업의 수출 감소분이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는 과거처럼 환율의 수준을 사수하려는 전략보다 환율하락속도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과 외환시장의 질적 성장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노성태 원장의 사회로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 원장, 진병화 국제금융센터 소장, 한상춘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현오석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소장 등이 패널토론을 벌였다.
<주제 1>업종별 실질실효환율을 이용한 우리나라 제조업의 가격경쟁력 분석 / 이재랑
Ⅰ. 연구배경
Ⅱ. 우리나라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
Ⅲ. 주요국 통화대비 원화환율 변동이 우리나라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Ⅳ. 업종별 가격경쟁력이 수출물량에 미치는 영향
Ⅴ. 시사점
<주제 2> 환율변동에 대비한 수출중소기업의 대응책 / 박 재 필
Ⅰ. 서론
Ⅱ. 중소기업의 환위험 관리
Ⅲ. 중소기업의 환위험 관리 실태조사
Ⅳ. 환변동과 관련된 계량적 분석
Ⅴ. 환변동 대응방안
Ⅵ. 결론
<주제 3> 환율하락의 영향과 정책과제 / 허찬국
Ⅰ. 문제제기
Ⅱ. 최근 환율의 움직임
Ⅲ. 환율하락과 수출
Ⅳ. 환율하락의 거시경제적 영향
Ⅴ. 대응방안
다음글 | 한국기업의 환노출 특성에 관한 연구 |
---|---|
이전글 | BaselⅡ 도입의 은행대출 및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