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서명
- 30대 기업집단의 국내 · 외 고용현황과 시사점
-
- 저자
- 최원락
- 보고서 구분
- KERI Insight
-
- 원문
-
KERI Insight 13-13.pdf
- 조회
- 10646

본 연구는 30대 기업집단의 해외고용 현황을 파악하고 30대 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국내고용과 주요 재무변수들이 30대 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해외고용과 어떤 관계가 있는 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기업의 고유한 경영판단 사항인 해외진출에 대해 노조가 국내 일자리 감소를 우려하며 반대하는 사례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대기업의 해외고용과 국내고용이 실제로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는 국내고용의 경우 공정거래위원회가 제공하는 OPENI Web DB, 해외고용은 세계적 기업정보 기업인 BVd info, 주요 재무변수는 KISVALUE를 통해 각각 입수하였다. 2012년 기준 30대 기업집단 소속 기업들로 구성된 횡단면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체 30대 기업집단의 해외고용은 44개국에 걸쳐 분포하는 데 대륙별 비중은 아시아(36.6%), 유럽(27.9%), 북미(17.8%) 등의 순으로 높고 국별 비중은 중국(34.5%), 미국(17.3%), 브라질(8.3%), 영국(5.0%), 멕시코(4.8%), 독일(4.0%) 등의 순으로 높다.
둘째, 전 산업 기준 30대 기업집단의 총 국내외 고용규모는 140만 명으로 전체 고용의 88%인 123.2만 명을 국내에서, 12.0%인 16.8만 명을 해외에서 각각 고용하고 있다. 기업집단군별 해외고용 비중은 4대 기업집단군(16.9%), 11-20대 기업집단군(8.5%), 5-10대 기업집단군 (4.8%), 21-30대 기업집단군(3.7%)의 순으로 높다. 30대 기업집단 전체 부분별 해외고용 비중은 제조업, 비 금융업, 전 산업의 순으로 높으나 하위 기업집단군의 경우에는 비 금융업, 전 산업, 제조업의 순으로 그 비중이 높아 하위 기업집단군이 상위 기업집단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융을 제외한 서비스업에 특화된 가운데 이들 부문으로의 해외진출이 많았음을 시사한다.
셋째, 산업별 해외고용 비중은 지주회사(전문·사업지원 서비스)(35.4%), 전자·전기·정밀기계(21.5%), 고무·화학·제약(13.4%), 자동차·운송장비(12.3%), 1차 금속(11.7%)의 순으로 높다. 지주회사(전문·사업지원 서비스)의 해외고용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지주회사들이 그룹 계열사들의 해외진출을 거의 총괄하여 전담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자·전기·정밀기계, 고무·화학·제약, 자동차·운송장비, 1차 금속과 같은 주력산업의 해외고용 비중이 높은 것은 이들 주력산업이 국내고용과 수출을 주도하는 가운데 해외진출 또한 주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해외 고용비중이 높은 그룹의 주력산업은 전자·전기·정밀기계, 자동차·운송장비, 고무·화학·제약으로 산업별 분석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다섯째, 회귀분석 결과, 국내고용과 해외고용사이에 상충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으며 활동성(비 유동 자산의회전율)이 낮을수록, 생산성(종업원 1인당 매출액)이 높을수록, 안정성이 높을수록(매출액 대비 금융비용 비율이 낮을수록) 해외 고용비중이 높다. 반면, 인건비 관련 변수는 해외고용 비중과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관계를 보이지 않아 30대 기업집단의 해외진출이 낮은 임금수준을 쫓아 이루어진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는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대기업집단의 해외진출은 그동안의 기업성장과 국내경영을 통해 축적된 생산성 및 안정성을 바탕으로 자산의 회전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기업집단의 해외고용이 국내고용과 상충관계에 있지 않고 대기업 집단의 해외진출이 낮은 임금수준을 쫓는 형태를 띠고 있지도 않으므로 대기업의 해외진출 증가를 국내산업의 공동화 및 국내 일자리 감소와 연결시키는 편향된 시각은 바로 잡혀야 할 것이다. 특히, 노조가 기업의 해외진출에 대해 국내 일자리 감소를 내세우며 반대하는 것은 해외진출 여부의 결정이 기업의 고유한 경영판단 사항임을 감안할 때, 현행 법체계에도 맞지 않으며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오히려 국내 일자리를 함께 축소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요약
제1장 연구의 목적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방법 및 내용
3. 선행연구 및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제2장 30대 기업집단의 국내 및 해외고용 개관
1. 30대 기업집단 지정현황
2. 30대 기업집단의 국내 및 해외고용 개관
제3장 30대 기업집단의 국내외 고용현황
1. 대륙별?국가별 해외고용 현황
2. 기업집단군별 현황
3. 산업별 현황
제4장 30대 기업집단의 국내고용?해외고용간의 관계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다음글 | 2014 정책리스크 쟁점과 평가 |
---|---|
이전글 | 경영상 해고요건 강화 입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