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연구실 | 기업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제도 및 규제를 심층 연구하여 시장원리와 경제자유를 심화·확대하고 기업경쟁력, 기업가정신을 향상시키는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기본과업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업정책 연구, 기업관련법 연구, 기업생태계 연구, 혁신기업연구 등 관련 연구 분야를 포괄하며, 이 연구 분야에 대한 단·중·장기 실증 분석은 물론 정책, 법·제도 및 규제 등을 분석하여 정책대안을 수시로 제시한다. |
---|---|
산업연구실 | 시장경제, 국제규범, 기업의 창의적 활동을 저해하는 규제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이론과 실증분석을 통해 기업투자와 일자리 창출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의 방향을 제시한다. 아울러, 국내 주력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도 및 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주요 연구 분야는 진입 및 가격규제, 산업입지 규제, 서비스산업 규제 등 경제적 규제와 한국의 국제통상 및 투자환경 분석 등 산업통상정책을 포함한다. |
미래성장동력실 | 미래성장동력실은 저성장구조를 극복하고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미래성장동력 창출 및 이와 관련된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기본과업으로 한다.구체적으로는 물적자본·인적자본·기술혁신 연구 및 3新(신산업·신시장·신기술)연구,조세·재정·금융 연구,저출산·고령화 연구 등 관련분야 연구를 포괄하며,이 연구 분야에 대한 정책·법제도·규제 분석 및 실증 분석을 통해 시장경제원리에 바탕을 둔 정책대안을 수시로 제시한다. |
거시연구실 | 거시경제 분석과 전망 및 거시정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여기에는 실물경제와 관련된 성장, 투자, 소비, 고용, 소득분배 및 국제무역 등의 이슈가 포함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자유시장경제원리의 정착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현안과 관련된 정확한 분석과 중장기 전망 및 정책 제언을 정부 및 기업에 제공하는 것이 거시정책연구실의 주요 목표이다. |
노동시장연구 T/F | 노근로시간 단축, 정년연장, 비정규직 보호 등 한국 경제가 당면한 노동시장 개혁 이슈를 연구한다. 또한 장기적 이슈인 고용형태의 다양화, 여성·청년·고령층의 경제활동 제고 등과 관련된 이슈도 연구한다.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모두 향상시켜 일자리를 창출하고 근로자 보호도 달성할 수 있도록 이론적,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노동시장연구 T/F의 주요 목표이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계간지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규제학회와 공동으로 발간하는 ‘규제연구’ 및 거시, 금융, 산업 경제 전반에 대한 연구간행물로 발간되고 있으며, KERI 발간물에 대한 도서연회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