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rtin-martz-OR8DEvVhym0-unsplash.jpg

l    연구    l    보고서 

KERI Insight

내부연구진과 외부전문가들의 개별연구결과를 담아 KERI가 발간한 보고서입니다.

KERI Insight

장기 엔달러 환율예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97. 10. 17.

3

최두열, 설동규

요약문


이 연구는 이제까지 환율예측을 위한 경제모형이 절실하게 요청됨에도 불구하고 환율예측을 위한 경제모형이 개발된 것이 별로 없다는 인식 아래 세계 경제의 가장 중요한 기초가격인 엔 달러 환율의 장기적인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어 환율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환율예측모형에 대한 논의에 앞서 우선 세계 유수의 경제 예측기관인 WEFA, DRI, NOMURA 등 기관의 엔 달러 환율예측 결과와 실제치를 비교하여 이들 기관의 환율예측치 중 예측구간 1년 이내에 있어서의 예측치와 실제치와의 괴리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엔달러 환율변화가 양국에 미치는 효과를 서술하였다. 그 후 엔 달러 환율결정요인으로 생각되는 미국과 일본의 경제 기초변수들로서 물가상승률, 이자율, 국제수지 등과 엔달러 환율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달러화의 장기적인 가치하락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 근본 원인이 되는 미국이 국제통화로서 세계 각국으로부터 향유하는 세뇨리지의 성격, 미국의 재정적자와 무역수지 적자와 환율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환율결정 이론을 고정계수 모형(FX), 프렝켈-빌슨모형(FB),돈부시-프랑켈모형(DF)과 국제수지 모형(BP)으로 요약하였다. 또한 균형환율은 경제 기초변수에 의하여 결정되며 균형에서 일탈한 환율은 환율동학에 따라 균형으로 회귀한다는 관념 아래 1990년대 중반 이후 전개되기 시작한 오차수정 모형, 차분방정식 모형, 장기 균형회귀 모형 등 새로운 환율동학 모형들에 대해 소개를 하고 이들을 기존의 환율결정 모형과 결합하여 환율예측 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제 환율동학 모형의 환율예측력을 비교하여 본 결과 표본으로 사용된 시기와 예측된 시기에 따라 결과가 변하였으나, RMSE 기준과 타일 Theil의 U통계량에 의하여 판단하였을 때 대체로 장기 균형회귀에 의한 예측이 예측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 균형회귀 모형은 다른 두 가지 환율동학 모형에 바하여 미래 환율에 대한 예측에 있어 미래경제 기초 변수의 예측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았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예측의 현실과 어려움

제3장 엔/달러 환율의 결정 요인에 대한 고찰

1​. 엔/달러 환율변동 추이와 경제적 효과

2. 엔/달러 환율변동과 경제 기초변수

3. 일본 자본의 미국 유입

4. 엔/달러 환율변동의 시기별 구분

제4장 환율결정 이론에 대한 고찰

1​. 환율결정 이론

2. 환율동학 모형에 대한 설명

3. 예측방법의 비교

4. 예측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5. 표본외 예측방법

제5장 예측결과

1​. 모형별 예측력 비교

2. 구간별 예측결과

3. 미래환율 예측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영문초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KERI Insight 최신 보고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