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RI Insight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무역거래, 수출경쟁력, 경합보완관계 측면에서
03. 10. 2.
3
박승록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참여정부의 주요 국정과제의 하나인 동북아 경제중심의 달성계획의 주요내용과 그 가능성을 총체적 잠재력, 무역량, 경쟁력 수준, 경합보완관계, 수출다변화 정도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특히 동북아 경제중심 계획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는 산업혁신 클러스터육성의 주요 내용인 IT, 부품, 소재산업이 신성장축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다양한 지표를 통해 비교 분석하고 있다.
목차
제1장 머리말
제2장 분석방법론 및 분석범위
1. 산업분류
2. 분석대상 국가
3. 물동량 이동관련 변수의 정의
4. 자료의 특성
5. 경합 및 보완관계 결정 모형
6. 교역량 집중도, 세계 일등품목수와 수출집중도
제3장 동북아 경제권의 총체적 잠재력 비교
1. 세계에서 동북아 경제권이 차지하는 위치
2. 인구규모
3. 국민소득 수준(GDP)
4. 인당 국민소득(GNI)
5. 무역규모와 대외의존도(무역의 GDP비중)
6. 외국인 투자
7. 세계일등품목과 경쟁력
제4장 동북아 경제권의 무역거래와 동북아 경제중심
1. 동북아 국가의 총무역 거래규모
2. 동북아 국가의 대분류 산업별 무역거래
3. 동북아 국가의 주요 산업별 무역거래
4. 동북아 경제권의 용도별 상품 무역거래
5. 동북아 국가의 역내 교역량 집중도 비교
제5장 경합보완관계와 동북아 경제중심
1. 동북아 경제권의 경합보완관계(총평)
2. 한국의 산업내 무역과 보완관계
3. 한· 중간 경합보완관계
4. 한· 미간 경합보완관계
5. 한· 일간 경합보완관계
6. 한· 홍콩간 경합보완관계
7. 한· 대만간 경합보완관계
제6장 수출다변화와 동북아 경제중심
1. 수출다변화와 경쟁력
2. 수출품목의 다변화 정도
제7장 제기되는 문제점
1. 지속적 고도성장
2. 산업 클러스터 육성의 한계효과
3. 선택과 집중 전략의 한계
제8장 결론:요약 및 정책적 의미
1. 동북아 경제중심의 개념상 혼동과 의미
2. 동북아 경제중심을 위한 총체적 잠재력
3. 동북아 경제중심을 위한 무역거래(교역량 집중도)
4. 동북아 경제중심을 위한 경합 및 보완관계(수출유망품목)
5. 동북아 경제중심을 위한 경제 안정성(수출다변화)
6. 동북아 경제중심과 소득배가 (10년 내 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달성과 5년 내 250만 일자리 창출)
7. 산업혁신 클러스터 육성과 선택과 집중 전략의 효과
8. 동북아 경제중심을 위한 정책적 의미
참고문헌
부표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