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RI Insight
한ㆍ중ㆍ일 경제관계와 동북아 경제협력
05. 1. 12.
박승록, 진홍상
요약문
참여정부 출범 후 동북아 경제중심 건설이 국정의 우선 과제로 제기 된 후 동북아 경제협력과 이를 위한 정책과제의 필요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동북아 경제협력에서 한국 중심의 사고의 틀 내에서 한중일 경제관계를 바라볼 경우 많은 오류가 있을 뿐만 아니라 3국간에 형성되어 있는 미묘한 정치적 측면을 배제할 경우 역시 많은 착오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보다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한중일 경제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향후 경제협력 방안과 추진에 있어서 중국측 시각을 충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동북아 지역의 역동성, 경제협력의 필요성, 가능한 경제통합모델에 대해 중국의 입장을 충분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목차
제Ⅰ장 서 론
제Ⅱ장 세계화와 지역주의
제1절 21세기 세계 경제의 발전추세
제2절 지역 블록화의 발전추세와 그 특징
제3절 세계 경제 3축에서의 동북아 경제권의 위상
제Ⅲ장 동아시아 경제와 한ㆍ중ㆍ일 경제
제1절 동북아 경제의 역동성
제2절 동아시아의 교역과 한ㆍ중ㆍ일 교역구조
제3절 동아시아의 외국인 투자
제Ⅳ장 동북아 경제권의 범위와 지정ㆍ경학적 환경
제1절 동북아 경제권의 개념과 범위
제2절 중국의 동북 경제구
제3절 동북아 경제권의 지경학적 환경
제4절 동북아 경제권의 지정학적 환경
제Ⅴ장 동북아 경제권 협력 모델과 실천
제1절 경제통합이론
제2절 동북아 경제협력의 각종 모델
제3절 국지적 경제협력(次區域經濟合作)의 발전과 한계성
제4절 동북아 경제권 협력의 실천적 모델
제Ⅵ장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시나리오와 중국
제1절 동아시아 FTA 열기의 배경
제2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여정
제3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특징과 시나리오
제4절 동북아 경제통합의 전망
제5절 중국-ASEAN FTA의 형성과 발전
제Ⅶ장 결 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