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RI Insight
오바마 정부의 '볼커 룰'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10. 4. 20.
2
이태규
요약문
보고서는 지난 1월 오바마 대통령이 천명한 은행 규제 방안인 볼커 룰은 과거 금융위기들에서 본 바와 같이 위기 이후에 나타나는 과잉 규제의 전형적 형태로서 도입되더라도 규제 순응비용이 너무 커 장기적으로 존속할 수 없는 규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였다.
보고서는 ’볼커 룰'의 구체적 집행방안은 아직 수립되지는 않았지만 대공황 이후 강화되었던 각종 事前的인 금융규제들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대공황이라는 큰 위기를 겪으면서 징벌적 성격이 강한 금융규제들이 도입되었으나 도입의 근거 및 실효성 측면에서 상당한 문제를 노출하였다고 보고서는 주장한다.
보고서는 대공황 이후의 강한 금융규제들이 결국 시장의 변화에 부합하지 못하는 사전적 규제가 가지는 한계를 노정하면서 실효성을 상실하면서 소멸하였는데 볼커 룰도 만약 도입된다면 이 같은 경로를 밟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보고서는 볼커 룰에서 언급하고 있는 자기계정거래(proprietary trading)의 금지가 기술적으로 실효성을 가지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여기에 더하여 미국의 규제체계는 금지하지 않은 사항은 허용되는 네거티브(negative) 시스템이므로 규제의 허점(loophole)을 이용한 규제 회피가 만연할 가능성도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하고 있다.
보고서는 미국 의회의 의석구조상 공화당이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한 볼커 룰이 원안대로 입법화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예상하고 있다. 볼커 룰은 국제적 표준이라고도 보기 어려운 강한 사전적 금융규제이며, 모범적 금융규제와도 거리가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금융산업이 지향하는 방향(대형화ㆍ겸업화)이 이에 영향을 받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또 우리나라의 금융산업 규모는 아직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에는 아직 왜소한 수준으로 겸업화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금융서비스 니즈(needs)를 충족할 수 있는 규모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목차
1. 논의의 배경
2. ‘볼커 룰’과 최근 미국 금융규제 개혁 논의의 동향
3. 미국의 중요 금융규제의 변천 및 시사점
4. 볼커 룰에 대한 평가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