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rtin-martz-RhF4D_sw6gk-unsplash.jpg

l    소통    l    KERI 지난자료

KERI 지난자료

한국경제연구원_WHITE_edited.png

KERI 국제정세

미국의 신 국방 전략 지침 해설

12. 1. 9.

6

이춘근

중동에서 아시아(특히 중국)로 초점이 바뀌고 있는 미국의 국방정책


미국 시간 2012년 1월 5일 미국 국방부는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21세기 미국 국방의 우선순위」(Sustaining U.S Global Leadership: Priorities for 21st Century Defense)라는 새로운 국방전략지침을 간행 했다. 보고서 본문의 길이가 불과 8페이지 밖에 되지 않는 짧은 문건으로 문자 그대로 거시적인 지침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며, 자세한 내용들은 차후에 완성될 보고서로 발표될 것이다.


신 국방전략 지침 보고서 서문(1월3일자 작성)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2011년의 예산 절감법(Budget Control Act of 2011)에 의해 연방지출을 감축해야 하며, 그 일환으로 국방비 역시 감소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그러나 신 국방전략 지침을 작성하게 된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미국이 앞으로 당면하게 될 전략, 안보상황이 과거와는 다를 것이라는 사실 때문이다. 이라크 전쟁의 종식, 오사마 빈 라덴 제거, 아프간에서의 전쟁종식 가능성은 미국이 예산 문제와 더불어 새로운 국방정책을 구상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모든 미국 대통령의 국방보고서에서 상투적으로 나타나는 언급들인 ‘미국, 미국의 동맹국과 파트너의 안전 보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오바마 대통령이 특히 강조하는 지역은 동아시아다. 오바마는 “우리는 지금 전쟁(이라크, 아프가니스탄)을 끝내고 있으며 앞으로는(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번영을 포함하는) 더욱 광범한 도전과 기회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고 언급하고 있다. 즉 미국의 국방정책의 초점을 중동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 옮기겠다는 사실을 명백히 하고 있는 것이다.


중동제국들의 신세대가 독재자들에 저항하기 시작했다는 사실, 리비아의 독재정권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리비아 국민들과 미국의 나토 동맹국들이 보여준 적극적인 협조는 향후 국제정치적 사건을 해결하는데 미국이 혼자서 모든 것을 담당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의 도래를 의미 한다. 오바마는 “전쟁을 끝내며(As we end today’s wars)” 라는 말을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의 제1차적 관심이 중동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미 힐러리 클린턴은 2011년 11월 호 ‘Foreign Policy’ 기고문에서 “21세기 정치는 아시아에서 결정된다.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에서가 아니다. 미국은 행동의 중심에 있어야만할 것이다.”(The Goepolitics of the 21st century will be decided in Asia. Not in Afghanistan or Iraq. And the United States should be right at the Center of the Action)고 말한 바 있었다. 미국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전쟁을 마감하는 동시에 아시아를 초점으로 하는 새로운 군사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것이다.


신국방지침은 미국의 군사력이 날렵하고(agile), 탄력적(flexible)이며 온갖 종류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 국방지침은 미국 군사력의 대상이 중국이라는 사실을 전혀 숨기지 않는다. 오바마는 미국 군사력은 접근이 거부된 상황(anti-access environments)에서도 훌륭하게 작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중국이 1980년대 중반 이후 채택한 국방전략이 바로 미국 해군이 중국 근해에 접근하는 것을 거부하는 반접근 혹은 지역적 접근거부(Anti-Access/Area Denial)전략이다. 미국의 전략가들은 중국의 전략을 A2/AD 전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이 고심 끝에 내놓은 전략인 반접근 전략을 신 국방전략 지침의 서문에서 그대로 되받아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사이버(cyber) 영역을 포함하는 국방의 모든 영역에서 다른 나라를 압도하겠다고 천명하고 있다. 사이버전쟁 역시 중국을 염두에 둔 언급이다. 미국 국방성은 자신의 컴퓨터 시스템이 하루에 약 1,000건 이상 해킹을 당하고 있다고 보며 그 대부분이 중국에 의한 것임을 이미 공개한 바 있었다.


파네타 국방장관 역시 미국은 10년 동안의 전쟁(중동전쟁)을 종료하는 지금, 전략적 전환점에 놓여 있다고 말하며 향후 규모는 작지만 더욱 매섭고 날렵하며 유연하고 준비태세가 완벽하며 기술적으로 상대를 압도하는 군사력을 건설할 것임을 강조한다. 파네타 장관은 미국 군사는 변해야 할 역사적인 시점에 와 있으며, 미국 국방전략의 변화는 재정상황 때문이 아니라도 반드시 변화해야 할 시점에 도달 했다고 말한다.


파네타 장관은 미국은 “지구 전체”에 군사력을 현시(顯示)할 것이라고 말하며 가장 중요한 지역을 아시아 태평양, 중동, 유럽 순으로 나열한다. 파네타 장관 역시 미국의 군사력 투사를 거부하는 세력, 사이버 공간에서의 전투 등을 언급함으로써 미국의 새로운 국방지침의 표적국이 중국임을 숨기지 않는다.


미국은 세계 여러 곳에서 전쟁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할 것


한국의 언론들이 미국이 동시에 두 개의 전쟁을 수행할 것이라던 전략을 포기하고 앞으로는, 하나의 전쟁만을 수행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비군사적인 방법으로 전쟁을 억지하는 전략으로 바꿨다고 말하고 있지만 한국 신문들의 보도와는 달리 미국 국방전략 보고서 원문에는 그런 언급이 전혀 없다.1) 오히려 “세계 여러 지역에 중요한 이익을 가지고 있는 나라인 우리나라(미국)의 군사력은, 우리(미국)가 다른 지역에서 대규모 전쟁을 치르고 있는 중일지라도, 어떤 기회주의적인 침략국이 다른 지역에서 침략을 도모하는 것을 억지하고 ‘격파’ 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만 한다.” (As a nation with important interests in multiple regions, our forces must be capable of deterring and defeating aggression by an opportunistic adversary in one region even when our forces are committed to a large-scale operation elsewhere. 본문 4페이지) 고 언급한다. 이 문장 어디에도 미국이 두 개의 전쟁 전략을 포기하고 하나의 전쟁 수행 전략으로 수정했다는 근거를 찾을 수 없다. 미국은 하나의 대규모 전쟁을 치르는 동안 다른 곳에서 기회주의적인 적이 도발해 올 경우 이를 억지하고 ‘격파’하겠다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격파는 전쟁을 통해서만 가능한 일이다.


미국이 인식하는 안보 위협 국가들


신 국방전략지침의 서문은 신 국방전략지침을 작성하는 이유를 ‘지난 10년 동안 행해진 중동전쟁을 종식시키고, 미래의 도전에 대비하기 위해서’라고 명시하고 있다. 보고서는 중동과 테러리즘을 언급하고 있으나 그 강조의 정도가 과거보다 약하다. 비록 테러리스트들의 위협이 종식된 것은 아니지만 오사마 빈라덴의 사망, 알카에다 최고위급 간부들의 사살로 인해 테러리스트들의 능력이 과거보다 약해졌다고 평가한다.


보고서는 서태평양, 동아시아, 인도양, 남아시아지역에 미국의 경제와 안보이익이 심각하게 연계되었다고 본다. 그래서 “미국은 전 세계 방방 공곡의 안보에 기여해야 하지만, 아시아 태평양지역을 더욱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단언한다. 미국은 동 보고서에서 인도를 중요한 전략동맹으로 간주하는 반면,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대해서는 그 투명성을 의심하고 있다. 미국의 국가안보 및 세계의 안보에 대해 부정적인 대상으로 거명하고 있는 나라는 북한, 중국, 이란 등 단 세 나라 뿐이다. 세 나라 중 두 나라가 동아시아에 있다.


미국이 제시하는 안보 이슈


미국이 특히 강조하는 것은 지구의 공유지(Clobal Commons)를 누구라도 자유롭게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지구의 공유지란 다름 아닌 바다를 의미한다. 지금 중국은 일본, 오키나와, 필리핀을 거쳐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선을 그어놓고 이를 제1 도련선(島連線)이라 말하며 제1 도련선 내에서 미국해군이 작전하는 것을 거부(Anti-Access)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것을 중국 국가방위 전략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거부전략’을 ‘거부’하겠다고 천명하고 있다. 미국 해군은 동지나해는 물론 황해, 동해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것임을 선언한 것이다.


다음으로 미국이 주요하게 생각하는 안보이슈는 대량파괴무기의 확산에 관한 것이다. 미국은 핵무기, 화학무기, 미사일 등 대량파괴 무기의 생산과 확산을 저지할 것이며 이 문제는 역시 북한과 이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미국 군사력의 사명


신 국방전략 보고서는 미국군사력의 사명을 10가지로 나누어 정리하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1) 미국은 어느 한 지역에서 대규모 전쟁을 치르는 도중에 다른 지역에서 전쟁이 발발하는 경우 이를 억지하거나 격파 하겠다는 것(즉, 두 개의 전쟁을 치른다는 것)과 (2) 어느 국가가 미국의 접근을 거부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해도 미국의 이 지역에 군사력을 투사할 것(Project Power Despite Anti-Access/Area Denial Challenges) 등 두 가지다. 이 세계에서 미국의 군사력이 자국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거부한다는 전략을 분명히 수립해 두고 있는 나라는 중국이다. 앞에서 이미 언급한 중국의 A2/AD 전략을 미국은 무시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최근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는 미국 군함들을 공격하겠다는 위협도 이 부류에 속하는 전략이다. 미국은 중국과 이란의 이 같은 전략에 굴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미군의 나머지 사명들은 테러리즘과 비정규전에 대한 대비, 대량파괴무기에 대한 대비, 사이버스페이스와 우주공간에서의 효율적 작전, 안전하고 효과적인 핵 억지 상황유지, 본토 방위 및 요인 경호, 안정적인 미국군사력 현시, 안정화 및 폭동진압 작전, 인도주의적 재난구조 작전 등이다.


미국의 아시아 강조는 우리에게 전략적으로 유리


미국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전쟁을 종식 시키고 있는 중이며 군사력의 초점을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 경제적인 이유가 물론 있지만 미국 국방전략의 변화의 보다 큰 요인은 역사적, 정치적인 것이다. 미국은 비전통적인 도전인 테러와의 전쟁을 약 10년 만에 종결하고, 보다 전통적인 국제정치적 도전인 급부상하는 신흥 강대국 중국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 물론 미국이 앞으로 테러와의 싸움을 완전히 그만둔다는 것은 절대 아니며 미국이 중국과 당장 본격적인 갈등관계에 빠져든다는 것도 아니다. 다만 신 국방전략 보고서는 미국 군사력의 초점이 국제정치상 보다 전통적인 위협인 패권 도전국인 중국에 대한 대응에 맞추어 질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21세기 미국의 국가이익(경제와 안보)은 아시아에서 결정된다는 미 국무장관의 말은 미국의 미래가 중국과의 경쟁에 달려 있다는 말이다.


미국의 군사력이 줄어든다는 사실에 우리가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다. 미국이 아시아를 강조하겠다는 보고서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고, 다른 곳에서 전쟁이 나면 미국이 우리를 도울 수 없을 것이라는 근거 부족한 언론 기사들도 경솔한 일이다. 미국의 아시아 강조는 우리에게 전략적으로 대단한 유리한 요인이다. 미국은 중국과의 경쟁에서 대한민국을 결정적으로 중요한 전략자산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춘근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cklee@keri.org)

---------------------------------------------------------------------------------------------------

  1. 한국의 언론들은 이 같은 기사를 보도하는데 있어서 미국 뉴욕 타임스의 Elizabeth Bumiller, Thom Shanker

  2. 기자의 해설기사를 참조한 것 같다. 버밀러 와 생커 기자는 1월 5일자 해설기사에서 ‘미국은 앞으로 전쟁을

  3. 하나만 치르는 전략으로 바뀌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이 미국이 하나의 전쟁만을 치를 것이라며 인용한 문

  4. 구는 “denying the objectives of -or imposing unacceptable costs on-an opportunistic aggressor in a

  5. second region.”이다. “다른 지역의 기회주의적인 침략자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거부하고, 감당할 수 없는

  6.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 는 말을 기회주의적 침략자와 싸우지 않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너무 자의적이다.

  7. 본문에서 필자가 인용한 보고서 본문은 분명히 '기회주의적인 적을 억지(deter)하거나 격파(defeat) 하겠다'

  8. 고 명기하고 있다. 미국은 오랫동안 2개의 전쟁 혹은 2.5개의 전쟁을 치른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었지만 사실

  9. 이것은 개념상의 전략이었다. 버밀러와 생커 기자는 두 개의 전쟁이라는 말 대신 두 개의 민족국가 침략자

  10. (two nation state aggressors) 가 벌이는 전쟁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혼란을 더욱 가중 시키고 있다.

  11. 미국이 실질적으로 의미하는 두 개의 전쟁이란 멀리 떨어진 두 개의 지역(예를 들면 유럽과 아시아 혹은 중동

  12. 과 아시아) 에서 발생하는 전쟁을 의미하는 것이지 두 개의 국가가 일으키는 전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