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기업집단 관리방식의 진화방향
08. 4. 30.
0
이수희
우리나라 상법이나 회사법 등은 독립기업을 전제하고 있다. 물론 여러 업종이나 사업분야에 걸쳐 경영활동을 전개하는 경우에도 기업 안에 여러 사업부1)를 두어 이들 사업부문을 관장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관련기업과 여타 투자자의 출자를 바탕으로 계열기업을 별도로 설립하여 사업을 확장·경영해 온 것이 보다 일반적이다. 더욱이 외환위기 이후 우리 기업들은 은행을 비롯한 여신금융기관들이 제공하는 간접금융보다, 손실의 범위는 납입자본으로 한정하고 이익의 범위는 무한하다는 점에 매력을 느끼는 직접투자자(주주)들의 자본에 의존하는 경향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본시장과 기업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주주나 경영자 그리고 금융기관의 입장에서 각 이윤단위(사업부문)가 어떤 성과를 내고 있는지 보다 투명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이윤단위를 일개 기업의 내부에 사업부형태로 유지하기 보다는 사업부문별로 별개의 기업을 설립하는 것이 보다 용이한 측면이 있다. 기업활동이 다각화할수록 그리고 규모가 커질수록 이러한 유인은 강화된다고 하겠다.
독립기업들이 상법과 회사법의 적용을 받고 있는 것과 같이 이들 기업집단들은 공정거래법의 적용대상이다. 대기업집단지정제도는 모기업과 계열기업으로 구성된 특정기업집단의 실체를 인정하고 이를 특별히 관리하고 있다. 또한 기업의 효율적 경영을 위해 사내 사업부들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기능이 필요한 것처럼 외연적으로 확장한 기업집단들도 계열기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과거 기업집단의 비서실, 기획조정실, 경영기획실 등으로 불리다 환란이후, 한시적 조직으로 설치된 구조조정본부가 이러한 관리본부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 기업집단의 관리본부는 계열기업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계열기업과 기업집단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국경제연구원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후 자율경영과 책임경영 분위기가 확산됨에 따라 각 계열사의 의사결정 권한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선진경영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는 자율경영과 책임경영의 확산 추세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계열기업차원의 자율·책임경영이 강조될수록 계열기업간 조정은 그만큼 어려워지고 기업집단의 장점을 살리기 어려워진다는 지적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2) 예컨대, 의사결정의 책임을 계열기업에 이전하고 정량적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하게 되면 계열기업의 경영진은 위험이 높고 장기적인 원금회수가 불가피한 연구개발투자보다는 위험이 낮고 단기적 수익성이 기대되는 투자계획에 집착하게 될 것이다. 경영자시장이 발달되지 않은 국내여건에서 전문경영인에게 의사결정 권한이 이전될 경우, 위험회피적 경향은 더욱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결국 다각화된 기업집단의 관리방식은 각 계열기업이 전략적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개별 계열기업의 특성에 맞게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과 동일기업(집단)내에 상이한 관리방식이 공존하기 어려우며 전체기업의 특성에 맞는 하나의 관리방식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관리방식을 구성하는 요소 중 일부는 개별기업에 맞게 차별화하고 여타 요소들은 모든 계열기업에 동일하게 적용할 때, 기업집단 특성과 계열기업 특성을 모두 반영한 기업집단 관리방식을 나름대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집단의 사업구조 다각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전문화를 향한 정책적 유인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국내 기업집단들은 사업구조나 소유구조 그리고 성장경로 등에서 적지 않은 상이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기업집단의 관리방식 또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내부시장의 효율성이 유지되는 한, 기업집단은 가치창출과 경쟁력제고에 기여할 것이며 사업구조와 관리방식은 해당기업집단의 핵심역량과 성장경로를 비롯한 기업특성을 고려하여 기업집단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야말로 기업집단의 진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정책방향이 될 것이다.
--------------------------------------------------------------------------------
Chandler는 기능적 조직(functional structure)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관점에서 사업부제 또는 복합기업의 장점을 설명
2) Eisenman, T.R. &Bower, J.L.,(2000), The enterpreneuriak M-form: Strategic integration in global media firms, Organic Science,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