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rtin-martz-RhF4D_sw6gk-unsplash.jpg

l    소통   l    KERI 컬럼

KERI 컬럼

전문가들이 펼치는 정론입니다.

한국경제연구원_WHITE_edited.png

동일 제품이 다른 가격에 팔리는 것은 부당한가?


보통 사람들은 동일한 제품이 가게마다 다른 가격에 팔리는 것을 두고 소비자들을 착취하는 것으로 부당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똑같은 제품이나 동일한 종류의 서비스 가격은 어디에서나 같아야 한다는 미신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실 세계에서는 그렇지 않다. 사람들은 동네 구멍가게, 대형마트, 인터넷쇼핑, 백화점 등 시장을 통해서 필요한 물건을 사서 쓰는데 물건을 사다보면 똑같은 제품인데도 불구하고 가게마다 가격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자동차에 넣는 휘발유 가격은 주유소마다 조금씩 다르다. 실제로 휘발유 가격은 영등포구 도림동에 위치한 한 주유소가 1,589원으로 가장 저렴했으며, 영등포구 여의도동 모 주유소가 1,948원으로 가장 비쌌다.1) 최저가격과 최고가격의 차이가 무려 359원이나 차이가 난 것이다. 이는 자동차에 20리터의 휘발유를 넣었을 때 7,180원의 차이가 난다. 심지어 동일한 회사에서 생산한 휘발유의 판매 가격도 주유소마다 다르며, 게다가 같은 지역에 위치한 주유소조차도 가격이 다르다. 영등포구 신길동에 위치한 주유소에서 모 정유사의 제품을 판매하는 휘발유 가격은 최저 1,649원에서 최고 1,820원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사례는 휘발유 가격 이외에도 많이 있다. 라면, 간장, 과자, 음료수, 아이스크림 등 공산품 가격은 동네 구멍가게에서 사느냐, 대형마트에서 사느냐, 백화점에서 사느냐에 따라 다르다.

동일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가격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경쟁의 유무 때문이다.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할수록 가격 차이는 크지 않을 것이다. 반면 경쟁이 없거나 치열하지 않을 경우 가격 차이는 상당히 클 것이다. 이마트ㆍ홈플러스ㆍ롯데마트 등 대형마트의 경우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하다. 그렇기 때문에 각 업체는 소비자들에게 다른 업체보다 더 싼 가격에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실제로 어떤 대형마트는 소비자들이 자사에서 구입한 상품과 같은 상품을 다른 업체에서 더 싸게 구매했을 경우 보상을 해주는 최저가격보상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정 금액 이상의 물건을 구매할 경우 구매액수의 일정비율에 상당하는 할인쿠폰을 제공하기도 한다.

둘째, 제공하는 서비스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제품이더라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르다면 꼭 동일한 제품이라고 말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백화점의 경우 소비자들에게 친절하고 편안함을 제공해 주고 쇼핑 환경을 쾌적하게 해주기 위해 노력한다. 또 대형마트의 경우 유아를 동반한 부모들을 위해 편리하게 쇼핑을 할 수 있도록 놀이방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동네 구멍가게에서는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동일한 제품이더라도 동네 구멍가게, 백화점, 대형마트 등 판매하는 곳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차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서로 다르게 느끼고 있다면, 이 제품은 다른 제품인 것이다.

셋째, 규모의 경제 때문이다. 이는 대형마트와 동네 구멍가게를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대형마트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을 상대한다. 그러므로 대형마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주차시설도 겸비해야 하고, 다양한 품목의 제품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또 고객들을 상대할 종업원들을 고용해야 하고, 대형 점포를 임대하거나 사야하는 등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반면, 동네 구멍가게는 인근 지역에 사는 소비자들을 상대로 하며, 대개 가족이 운영하고 한정된 공간에서 한정된 물건을 판매한다. 대형마트가 훨씬 더 비용이 많이 드는 것처럼 보임에도 불구하고 구멍가게보다 싼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규모의 경제로 인해 제품을 대량으로 싸게 구입할 수 있으며, 동네 구멍가게보다 소비자들에게 다양하고 싸고 좋은 제품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동일한 제품, 동일한 서비스라 하더라도 가게마다 가격이 서로 다른 데에는 이유가 있다. 사람들이 조금만 더 신중하고 사려 깊게 생각하면 우리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경제현상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박양균 (자유기업원 시장경제팀장, pyk@cfe.org)

---------------------------------------------------------------------------------------------------

1) 2009년 9월 22일 www.naver.com 주유소 가격비교에 표시된 가격이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