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보고서는 아시아 통화위기의 발생과 그 인과요인들간의 관계를 사슬을 잡아당겼을 때 가장 약한 고리의 부문에서 끊어져 나가는 과정으로 모형화하였다. 이러한 모형 설정에 따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시아 통화위기에 있어서 실물부문에 있어서는 아시아 지역에서 수직적 국제분업체제가 흐트러지게 되었으며, 금융부문에서는 고정환율제를 유지한 가운데 급속한 자본자유화를 추진함에 따라 유입된 자본이 아시아 국가들의 거시경제 불균형을 심화시켜 '거시경제 전체에 대해 긴장도'를 높였다. 또한 미숙한 자본 및 금융자유화 과정에서 취약한 금융감독에 따라 비대화한 비은행 금융기관들이 경기변동에 따라 부실화되어 '가장 약한 고리'부분을 형성하였으며, 헤지펀드 등에 의한 공격이 '충격요인'을 구성하였다. 즉 자본자유화에 따른 거시경제의 불균형 심화로 경제전체의 긴장도가 높아져 가는 가운데 충격요인이 발생하자 부실화된 비은행 금융기관들과 금융시스템으로부터 우선 국제자본이 회수되면서 통화위기가 발생하였다고 분석하였다.
제1장 서 론
제2장 아시아 각국의 거시경제지표
1. 경제성장, 물가, 재정
2. 경상수지와 무역수지
3. 투자
4. 외환보유고
5. 외채
6. 민간부문에 대한 은행여신
7. 대외개방도
제3장 아시아 통화위기의 과정
1. 동남아 통화위기의 과정
2. 동남아 통화위기의 동북아로의 전염과정
3. 한국의 외환위기 발생과정
4. 헤지펀드
5. 전염Contagion
제4장 아시아 통화위기의 원인에 대한 기존견해
1. 금융부문의 도덕적 해이가 원인이라고 보는 견해
2. 아시아 통화위기는 자본자유화가 원인이라고 보는 견해
3. 음모설
4. 유동성 위기설 및 구조적 위기설
제5장 아시아 통화위기 발생원인 분석
1. 실물부문 : 아시아 각국내 경쟁의 격화
2. 아시아 각국의 자본자유화와 자본유입
3. 국제자본유입의 급증과 급감
4. 고정환율제도의 유지와 환율의 고평가
5. 금융부문의 취약성
6. 한국 외환위기 발생의 내부적 요인
7. 한국 통화위기 발생의 외부적 요인
제6장 대책
1. 국제적인 공조체계에 의한 대처
2. 개별국가에 의한 대처
제7장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다음글 | 다음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
---|---|
이전글 | 이전글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