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rtin-martz-OR8DEvVhym0-unsplash.jpg

l    연구    l    보고서 

KERI Brief

​경제이슈에 대한 분석과 전망입니다.

KERI Brief

국내 상장사의 고용 동향 추이와 정책적 시사점

18. 2. 27.

5

추나현

요약문


현재 정부는 ‘일자리 만들기’를 핵심 국정과제로 지정하고 일자리상황판 설치, 일자리 위원회 신설 등을 통해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저성장과 고령화로 일자리 창출기반이 감소한 상황에서 높은 청년실업률이 지속되는 등 고용 지표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업종별 일자리 현황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제도 개선책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최근 10년간(2007∼2016년) 코스피·코스닥 비금융 상장기업의 연도별 사업보고서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장기업 종업원 수가 매년 증가한 가운데 전체 고용 대비 제조·건설업 고용은 비중이 다소 줄고 유통·서비스업은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건설업보다 유통·서비스업에서 고용이 빠르게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실제 10년간 16개 업종 중 15개 업종에서 고용이 증가했는데, 그중 연평균 고용증가율 상위 5개 업종은 부동산 및 임대업, 도소매업 등 모두 유통·서비스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기업의 고용 현황을 살펴보면 유통·서비스업의 고용 증가가 더 두드러지는데, 10년 전(2007)과 비교했을 때 고용증가 상위 10개 기업 중 유통·서비스기업은 3개사에 불과했지만 3년 전(2013)과 비교하면 총 6개사로 유통·서비스업 기업이 절반 넘는 수준으로 늘어난다. 이렇듯 10년간 유통·서비스 산업의 고용이 빠르게 늘면서 비중도 커진 것은 제조업보다 유통·서비스업의 고용 창출 효과가 더 크기 때문이다. 반면 높은 고용 효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GDP 대비 유통·서비스 산업 비중은 해외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서비스산업발전법의 조속한 통과, 유통업 규제 완화와 같은 제도 개선을 통해 유통·서비스 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을 높이고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상장사 고용현황 및 특징

Ⅲ. 결론 및 시사점





​#KERI Brief 최신 보고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