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l    연구    l   KERI 경제동향과 전망

l    연구    l    보고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국내외 경제동향에 대한 심층분석과 전망을 통한 정책대안제시 보고서입니다.

한국경제연구원_WHITE_edited.png

KERI 경제동향과 전망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18년 3월호 [Vol.28-1]

18. 4. 18.

5

한국경제연구원


본 보고서에서는 투자 증가세 둔화가 올해 국내 성장흐름 약화를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14.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설비투자는 기존 증설설비에 대한 조정, 금리상승, 법인세율 인상 및 투자세액공제 축소 등 투자여건 악화의 영향으로 올해는 3.0%로 대폭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더구나 이미 둔화추세에 진입한 건설투자는 건축허가면적 감소, 강력한 부동산 규제 정책, SOC예산 축소 편성 등의 영향으로 증가율이 -0.1%까지 둔화된다는 분석이다.


수출부문도 소폭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됐다. 실질수출(재화와 서비스)은 글로벌 수요확대 지속에도 불구하고 주요 품목의 수출단가 하락가능성의 영향으로 소폭 둔화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민간소비는 소비심리 회복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의 소득지원 정책이 저소득층 소득 개선에 영향을 주면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인 2.6%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시장금리 상승, 경제정책의 성장지원 여력 감소,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본격화 등은 성장의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9%에서 올해 1.7%로 소폭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최저임금 큰 폭 상승에도 불구, 성장세 둔화, 제한적인 유가상승 등이 물가상승세를 둔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는 서비스수지의 적자가 유지되는 가운데 상품수지 흑자폭이 줄면서 작년에 비해 44억달러 감소한 740억달러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원⋅달러환율의 경우 1,095원으로 작년 평균환율(1,130.5원)에 비해 소폭 절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美 통화정책 정상화 등으로 달러강세 여건은 강화되고 있으나 유로화의 강세지속과 신흥국으로의 투자자금 유입이 지속되면서 달러화의 반등수준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장금리(회사채AA-, 3년)는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상승 추세가 지속되면서 2.8% 수준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네임카드(임동원)_500x160.p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