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l    연구    l   KERI 경제동향과 전망

l    연구    l    보고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국내외 경제동향에 대한 심층분석과 전망을 통한 정책대안제시 보고서입니다.

한국경제연구원_WHITE_edited.png

KERI 경제동향과 전망

KERI 경제동향과 전망-2019년 3분기 [Vol. 29-3]

19. 12. 27.

4

이승석


본 보고서에서는 지난해 경제성장을 견인해 왔던 수출의 급격한 감소가 올해 성장흐름 악화를 주도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중 무역갈등의 격화, 글로벌 경기 하강에 따른 주요 수출상대국들의 성장률 둔화, 반도체 및 주요 수출품목의 가격경쟁력 상실 등 전반적인 교역조건 악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대외 불확실성이 증폭된 것이 수출급감의 주요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극심한 투자(건설+설비)부진과 민간소비 둔화 역시 성장 전망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이미 마이너스(-)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설비투자는 어두운 수출전망 및 극심한 경기부진에 따른 증설유인 부족으로 둔화폭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는 정부의 부동산 억제정책과 추가적 규제조치에 기인하여 둔화폭이 -4.5%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동안 내수부문의 버팀목 역할을 하던 민간소비도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부진으로 명목임금상승률이 크게 감소한 가운데 소비심리의 지속적인 악화, 가계부채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자산가격 하락의 영향이 가시화되면서 직전 전망치보다 0.4%p 감소한 1.9%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대내적으로는 주식·부동산 등 자산가격 하락, 자본시장의 변동성 확대, 명목임금상승률 둔화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노동시장 유연성 약화에 따른 생산성 하락이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미·중 무역갈등의 격화, 한·일 무역갈등의 부각, 주요국들의 성장률 하락으로 인한 대외수요 감소, 반도체 업황부진 지속, 국제자본시장 불확실성 증대 등이 성장의 하방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목표물가상승률에 크게 못 미치는 0.5%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건비의 큰 폭 상승에도 불구, 경기의 급격한 위축에 따른 낮은 수요압력, 서비스 업황 부진 그리고 가계부채·고령화 등의 구조적 원인이 물가상승에 대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는 세계경기 하락 및 무역분쟁 심화의 영향으로 상품수지의 흑자폭이 크게 줄어드는 가운데 서비스수지의 적자기조가 지속되면서 지난해에 비해 284억 달러 감소한 480억 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네임카드(임동원)_500x160.p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