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rtin-martz-OR8DEvVhym0-unsplash.jpg

l    연구    l    보고서 

KERI Insight

내부연구진과 외부전문가들의 개별연구결과를 담아 KERI가 발간한 보고서입니다.

KERI Insight

특성화고 입학 및 취업요인 분석과 청년실업 완화를 위한 시사점

18. 10. 31.

10

유진성

요약문


본 보고서에서는 2010~2016년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중1 조사자료)의 특성화고 3학년 시기와 그 다음해 자료를 사용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의 졸업 후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3학년 시기의 학생 성별, 고등학교 소재지역, 아버지 교육수준, 어머니 교육수준, 가구 연간 소득, 학생 성적의 주관적 평가, 미래 계획의 구체성, 부모의 희망 교육수준, 아버지와의 진로대화 빈도, 어머니와의 진로대화 빈도, 중학교 각 학년별 직업체험 참여 여부, 고등학교 각 학년별 직업체험 참여 여부 그리고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여부 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프로빗(Probit) 모형과 성향점수매칭법(PSM)을 통해 각각의 요인이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분석결과 중학교 2학년 시기의 진로 및 직업교육이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에 유의적인 양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예상과는 달리 특성화 고등학교 시기의 직업체험 활동 진로 탐색 활동, 직업 현장 체험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졸업 후 취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중학교 2학년 시기의 직업체험 활동은 특성화고 취업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했다. 예컨대 보고서는 중학교 2학년 시기에 직업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에 성공할 확률이 약 20.3~21.6% 포인트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부모의 인식, 더 나아가서는 사회적 인식이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에 걸림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의 희망교육수준이 전문대 이상일 경우 특성화고 재학 중인 학생이 졸업 후 취업에 성공할 확률은 약 39.6~44.6% 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요컨대 고졸 취업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부정적이어서 희망교육수준이 높을 경우 학생의 고졸 취업 가능성은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한경연은 동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생의 특성화고 진학요인 대해서도 분석하였는데,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생 성별, 중학교 소재지역, 아버지 교육수준, 어머니 교육수준, 가구 연간 소득, 학생의 성적 평균점수, 미래 계획의 구체성, 중학교 각 학년별 직업체험 참여 여부, 그리고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특성화고 진학여부 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프로빗(Probit) 모형과 성향점수매칭법(PSM)을 통해 각각의 요인이 특성화고 진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 연간소득이 높을수록, 학생의 평균성적이 높을수록 특성화고에 진학할 가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직업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은 특성화고에 진학할 가능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 진로에 대한 계획이 명확할수록 특성화고에 진학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보고서는 중학교 3학년 시기에 직업체험에 참여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특성화고에 진학할 확률이 약 4.2~5.6% 포인트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래 진로에 대한 계획이 명확한 학생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특성화고에 진학할 확률이 최대 약 6.7% 포인트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보고서는 부모의 희망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고졸 취업 가능성은 줄어드는 만큼 고졸 취업에 대한 부모의 인식, 더 나아가서는 사회적 인식의 제고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를 위해 고졸 취업의 성공사례 등을 널리 홍보하여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고졸 취업자에 대한 승진차별도 시정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취업 전문인력 확보 및 배치, 산학협력 강화, 교육시설에 대한 투자 확대 등을 통해 향후 특성화고 운영과정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목차


I. 서론


Ⅱ. 우리나라 직업계 고등학교의 현 주소


Ⅲ. 특성화 고등학교의 입학요인 및 취업요인 분석


Ⅳ.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네임카드(임시).png

​#KERI Insight 최신 보고서

46FL, FKI Tower, 24, Yeoui-daero, Yeongdeungpo-gu, Seoul, 07320, Korea

TEL: 82-2-3771-0001

​연구원 소개

연구

소통

미디어와 네트워킹

Copyrightⓒ 2023 KERI.ORG.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